라벨이 자재인 게시물 표시

겨울 옷 소재택에 적혀 있는 소재들의 의미와 특징 알아보기

이미지
옷을 구입할 때 소재 택을 보아도 뭐가 뭔지 모르겠을 때가 많습니다. 특히 겨울 옷의 경우 소재 이름도 잘 모르겠는데 가격이 매우 비쌀 때는 선택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모두 다 좋은 소재라고 말하면 아 좋은 소재인가 보다 하고 구입하기보다는 본인이 소재에 대해 알고 있을 경우 선택이 더욱 쉬울 것이기에 겨울옷에 많이 사용되는 소재들을 조금 알아두면 좋을 것 일이라고 생각됩니다. 겨울 소재에 많이 사용되는 소재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린넨(Linen)의 특징과 장단점, 세탁방법

이미지
린넨은 통기성이 좋고 열전도율이 높아 특히 여름에 많은 인기가 있는 소재입니다. 린넨의 특징과 장단점, 세탁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린넨(Linen) '아마(flax, 亞麻)'는 섬유를 만들기 위해 6천 년 넘게 사용된 식물로 이 아마 식물의 껍질 줄기로 린넨이 만들어집니다. 천연 섬유인 린넨은 의복으로 만들어지는 섬유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구김이 잘 가지만 열전도율이 높고 통기성이 좋아 여름 의류의 소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테이블보나 손수건, 냅킨 등에도 많이 사용됩니다. 좋은 린넨을 생산하기 위한 아마의 재배 조건은 낮은 기온으로 린넨도 레시아, 벨기에, 네덜란드, 캐나다 산 등이 최상급 린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면(Cotton)의 특징과 장단점, 세탁 방법

이미지
섬유는 천연섬유와 인조섬유로 나뉩니다. 천연 섬유가 좋다는 인식이 있기는 하지만 천연섬유라고 무조건 좋고 인조섬유라고 무조건 나쁜 것이 아니라 천연 섬유와 인조 섬유의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합니다. 대부분의 섬유는 장단점이 명확하게 존재하기 때문에 해당 섬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른 섬유를 혼방하는 경우가 많지만 면의 경우 유독 100%인 경우가 많습니다. 아주 오래전부터 사용해 오던 섬유인 면은 시간이 지나면서 합성섬유와 재생섬유 등의 발전으로 인해 예전처럼 많이 사용되지는 않지만 여전히 완전히 면을 대체할 만한 섬유는 없기에 의류를 비롯한 매우 곳에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기도 합니다.

캐시미어(CASHMERE)의 특징과 장단점, 세탁 방법

이미지
캐시미어는 울의 한 종류로 인도의 카슈미르 지방과 인도 북부, 티베트, 이란 등지에서 기르는 캐시미어산양에서 빠진 털로 만든 원단으로 매우 고급 모직물에 속합니다. 섬유의 보석이라고도 불리는 캐시미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신이 내린 섬유라고 불리는 세상에서 가장 비싼 울, 비쿠냐 울(Vicuña Wool)

이미지
비쿠냐 울이라는 단어는 널리 알려지지는 않은 울이기에 조금 생소하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입니다. 울이 한 종류인 비쿠냐 울은 캐시미어보다 10배 이상 비싼 현존하는 울 중 가장 비싼 소재입니다. 한때 멸종 위기에 있었던 비쿠냐의 털로 생산되고 있으며 캐시미어 보다 섬유가 얇은 최고급 섬유로 신이 내린 섬유라고 불리기도 하고 있습니다.

울 100, 울 혼방 소재에 대한 오해와 진실

이미지
의류를 선택할 때 소재에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울이나 면 등 천연소재의 함량이 100이면 고급스럽고 좋은 소재이고 다른 소재가 섞여 있을 경우 조금 질이 떨어지는 소재하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듯합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이왕이면 면 100, 실크 100, 울 100, 캐시미어 100을 찾습니다. 정말로 천연 섬유의 함량이 100일 경우 무조건 좋은 것인지, 특히 그중 겨울 의류 소재로 많이 사용되는 울 소재의 함량이 100인 경우 모든 면에서 뛰어난지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울(WOOL)의 종류, 울(毛)과 양모(羊毛)의 차이

이미지
WOOL(毛) 울은 영어식 표현이며 모는 한자(毛) 식 표현이며 울과 모는 같은 소재입니다. WOOL은 대표적인 천연 섬유로 우리나라에서는 양의 털이라는 의미의 양모(羊毛)로 많이 사용되지만 毛는 사실 웬만한 동물의 모든 털을 포함합니다. 염소, 알파카 토끼 등 어떤 동물에서 얻은 것인지에 따라 울의 종류가 달라지며 알파카, 모헤어, 앙고라, 캐시미어 등 모든 소재가 WOOL에 포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