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옷 소재택에 적혀 있는 소재들의 의미와 특징 알아보기

옷을 구입할 때 소재 택을 보아도 뭐가 뭔지 모르겠을 때가 많습니다. 특히 겨울 옷의 경우 소재 이름도 잘 모르겠는데 가격이 매우 비쌀 때는 선택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모두 다 좋은 소재라고 말하면 아 좋은 소재인가 보다 하고 구입하기보다는 본인이 소재에 대해 알고 있을 경우 선택이 더욱 쉬울 것이기에 겨울옷에 많이 사용되는 소재들을 조금 알아두면 좋을 것 일이라고 생각됩니다. 겨울 소재에 많이 사용되는 소재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겨울 소재

1. 울(WOOL)

겨울 소재 중 매우 대표적인 소재인 울(WOOL)은 여러 동물의 털을 모두 총칭하는 말로 울이라고 하면 어떤 동물의 털인지 모르는 것이 정상이지만 대부분의 의류의 경우 울(WOOL)이라고 섬유의 조성에 적혀 있을 경우 대부분 양모를 말합니다. 양모가 아닌 다른 울의 경우에는 어떤 울인지, 캐시미어, 카멜, 앙고라 등으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2. 메리노 울(Merino Wool)

에스파냐의 재래종과 아시아종 면양을 양모를 얻기 위해 교잡시켜서 개량한 품종인 메리노에서 얻은 양모를 뜻하며 일반 양모에 비해 가늘고 부드러우며 탄력이 우수하여 울 중에서는 고품질에 속합니다. 생산량도 많아 품질 대비 가격 역시 좋은 편입니다.

3. 램스울(Lambs Wool)

생후 1년 미만인 어린양의 털로 만들어진 울 소재입니다. 일반 양모에 비해 곱고 부드러우며 생후 1년 미만일 때 털을 깎아야 하기 때문에 가격이 좀 더 비싼 편입니다.

4. 버진 울(Virgin Wool)

새로 깎은 양털에서 얻은 양모를 뜻하는 말입니다. 이미 울로 만들어졌던 제품을 해체하여 다시 재활용(recycle)하여 만든 울을 재생울이라고 하는데 재활용하지 않은 첫 울이라는 의미로 버진 울이라는 단어를 사용합니다. 버진울이 매우 좋은 울인 것처럼 간혹 광고하기도 하지만 버진 울은 버진 울이라는 이름을 붙여 표기해 놓은 것일 뿐 일반 울과 같습니다. 즉, 소재에 버진 울이라고 적혀 있다고 해서 뭔가 특별한 것이 아닙니다. (Wool = Virgin Wool)

5. 캐시미어(cashmere)

고원에 사는 캐시미어 염소의 털을 원료로 하는 캐시미어는 섬유의 보석이라 불리는 고급스러운 소재입니다.
대부분 몽고와 내몽고에서 생산되는데 가운데에 고비사막을 두고 몽골과 내몽고로 나누어집니다.
중국의 네이멍구를 한자음으로 발음한 것인 내몽고는 영하 15~20도 정도이며 몽골 지역은 영하 40도까지 내려가는데 이렇게 몽골의 혹독한 환경에서 자라난 캐시미어 염소의 털이 더 부드럽고 긴털을 갖게 되며 보온성이 더 우수합니다.
만약 고급스러운 캐시미어의 구입을 원할 때는 캐시미어의 원산지 확인이 가능하다면 가격이 허락하는 한 몽골 제품을 구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홈쇼핑 등에서 간혹 원산지를 내몽골이라고 소개하면서 마치 몽골산 고급 제품인 것처럼 소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결국 이는 중국산으로 이러한 정보를 알고 있다면 캐시미어 제품을 선택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의류에 표기된 원산지의 경우 소재의 원산지가 아닌 의류를 제작한 곳이며 소재의 원산지는 표기가 되지 않은 것이 대부분이라 일부를 제외하고는 캐시미어의 원산지를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은데 일반적으로 흔하게 볼 수 있는 캐시미어를 구입하는 경우 대부분의 중국산인 경우가 많습니다. 세계 3대 캐시미어 브랜드인 피아첸자(피아센자, Piacenza), 콜롬보(Colombo), 로로 피아나(Loro piana) 등도 캐시미어의 원산지는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원산지는 알 수 없더라도 품질 자체가 입증되었기 때문에 고가의 고급스러운 캐시미어의 구입을 원할 경우에는 이러한 회사의 캐시미어 원단을 사용해서 제작된 의류를 구입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 테일러 샵이나 고가의 백화점 브랜드, 남성복 슈트 브랜드 등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브랜드의 원단을 사용했을 경우에는 라벨 외에도 대부분 소재 브랜드 택이 부착되어 있습니다. 주로 옷의 내부에 부착하거나 간혹 소매 겉쪽 등 겉에 보이는 부분에 부착하기도 합니다.

캐시미어-소재라벨
사진) 캐시미어 소재 라벨

+ 베이비 캐시미어 : 3개월에서 12개월 사이의 어린 염소에게서 얻은 털을 말하며 일반 캐시미어보다 더 부드럽고 가격이 비쌉니다. 꼭 캐시미어뿐만이 아니라 다른 소재의 경우에도 소재 앞에 베이비가 앞에 붙은 경우 어린 동물로부터 얻은 털이라고 생각하면 되며 일반 소재보다 조금 더 고가입니다.
+ Pure cashmere(퓨어 캐시미어) : 이탈리라 어로 Pure는 Puro(퓨로, 다른 것이 섞이지 않은 순수한) cashmere를 뜻합니다. 영어로 퓨어 캐시미어로 발음하며 다른 것이 섞이지 않은 순수 캐시미어를 뜻하는데 울 중에서 재생하지 않은 울을 버진울이라고 표기하는 것처럼 재생되지 않은 순수한 캐시미어라는 뜻으로 캐시미어 앞에 pure가 붙어있다고 해서 특별하거나 다른 점이 있는 것이 아닌 캐시미어와 같은 말입니다.(cashmere = Pure cashmere)
+ 캐시미어 터치 : 캐시미어가 들어가 캐시미어인 줄 아는 사람들이 있으나 캐시미어와 유사한 느낌을 주었다는 의미로 섬유의 조성을 살펴보면 100% 합성섬유인 경우가 많습니다. 캐시미어 터치뿐만 소재 이름 뒤에 터치가 들어간 것(울터치, 실크터치 등)은 모두 이런 의미입니다.

6. 알파카(alpaca)

알파카는 페루, 볼리비아 안데스 산맥의 낙타과 동물로 털이 가늘고 길어 코트 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알파카 중에서는 수리 알파카를 고급으로 치고 있으며 털이 길기 때문에 조금 빠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7. 앙고라(angora)

앙고라는 토끼털이 원료로 매우 부드러운 털이 특징이지만 잘 빠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보다는 다른 소재와 혼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8. 캐멀(camel)

camel코트라고 하면 대부분 색상을 이야기하는 것이라고 생각되지만 겉감 원단이 Camel이라고 적혀있다면 낙타털에서 얻은 캐멀울로 만들어진 것입니다. 주로 낙타의 허리와 다리 부분에 굵은 털과 부드러운 털이 섞여 있는데 이 중 부드러운 털로는 코트 등의 의류를 만들고 굵은 털로는 카펫 등을 만드는 데 사용합니다. 낙타의 털 중에서는 부드러운 편이지만 다른 소재에 비해서는 질기고 두꺼운 편입니다.


9. 모헤어(mohair)

앙고라염소의 털에서 얻은 소재를 말하며 털이 매우 길게 늘어지는 특징이 있어 옷감도 이런 질감을 가지고 있으며 의류로 만들어도 모헤어인지 금방 알 수 있는 편입니다.

막스마라의모헤어-코트
사진)막스마라의 모헤어 코트

10. 비쿠냐 (Vicuña)

신이 내린 섬유라 불리는 비쿠냐는 생산량이 극히 제한되어 있으며 현재 유통되고 있는 모든 섬유를 통틀어 가장 고가입니다. 매우 고가의 몇몇 브랜드에서만 취급하고 있으며 대부분 이 원단 자체를 다루고 있지 않기 때문에 만나보기 힘든 소재입니다.

11. 아크릴(acrylic)

1941년 듀폰이 개발한 소재인 아크릴은 양모와 비슷한 질감을 가지고 있으며 보온성이 뛰어나 코트 소재에 혼방으로 많이 사용되며 겨울 니트에서도 굉장히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양모와 비슷한 느낌을 가지고 있지만 양모와 비교했을 때 조금 딱딱한 느낌이 들며 보풀과 정전기가 심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12.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에스터는 계절과 관계없이 모든 의류에 가장 많이 쓰이는 소재입니다. 플리스와 극세사는 100% 폴리에스터로 가볍고 보온성이 뛰어나 겨울 의류에 많이 사용되지만 세탁 시 공기 중과 하수로 미세 플라스틱을 내뿜어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심각한 환경 문제의 원인으로 대두되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나 가공하는 방식에 따라 방수성, 투습성을 높일 수 있어 기능성 스포츠웨어 등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천연 섬유인 울이나 면 등과 혼방할 경우 가벼워지면서 내구성이 높아지고 가격대 역시 낮아질 수 있습니다. 만약 천연 섬유와 혼방되어 있을 경우에는 함유량을 잘 보아야 하는데 함유량에 따라 보온성, 흡습성, 질감 등이 전혀 다른 옷이 되기 때문에 혼용율을 잘 살펴본 후 구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울 60, 폴리 40의 경우에는 울의 느낌이 강하지만 울 40 폴리 60이라면 폴리의 느낌이 강해지기 때문에 울코트라고 해서 구입했는데 착용하다 보니 정전기가 너무 많이 생겨 섬유 조성표를 보면 아크릴 70 울 30인 경우도 허다합니다.

13. 나일론(nylon)

나일론 역시 울과 많이 혼방되는 소재이며 외관상 폴리에스터와 비슷해 보이지만 폴리에스터에 비해 탄성과 광택감이 더 뛰어납니다. 그러나 햇빛에 노출되면 변색이 될 수 있으며 다른 옷과 닿을 경우 이염이 될 수도 있습니다.

겨울 의류에 많이 사용되는 소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겨울 코트를 구입하려고 할 경우 양모 함량이 높을수록 보온성이 뛰어납니다. 만약 울 느낌이 나는 코트의 구입을 원할 경우 양모의 함량이 최소한 60% 이상인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모 함량이 80~90% 정도일 경우 매우 보온성이 우수할 것이며 모 100%의 순모 코트일 경우 보온성은 이보다 더 우수하겠지만 보풀이 많이 생길 수 있으며 많이 무거울 수 있기 때문에 꼭 모 100%를 고집할 필요는 없습니다.
캐시미어의 경우 고급스러운 캐시미어를 원할 경우 캐시미어 함량이 높을수록 좋으며 100% 캐시미어도 좋습니다. 그러나 캐시미어는 매우 따뜻하고 가볍다는 장점이 있지만 관리가 까다롭고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합리적인 가격의 캐시미어 코트를 원할 경우 캐시미어의 함량이 10~30% 정도만 되어도 괜찮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