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 필요가 없지만 그래도 궁금하다 - 블레임 룩(Blame look)
블레임룩(Blame look)
블레임(blame:비난하다) + 룩(look; 스타일)
비난하다라는 뜻의 블레임과 스타일이라는 뜻의 룩의 합성어인 블레임룩은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었거나 비난을 받는 인물의 패션, 또는 소지품 등이 대중에게 주목을 받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최근 넷플릭스 드라마인 퀸메이커에 이 단어가 등장하면서 다시 이목을 끌기 시작했습니다.퀸메이커에서 김희애가 맡은 황도희의 대사 중에 다음과 같은 대사가 있습니다.
“비자금 사건 때 검찰청 앞에서 벗겨진 저 신발, 그 딸이 체포될 때 입었던 스위스산 패딩, 경영권 승계 파문 때 당사자 손에 들려있던 이 드레스백, 전부 검색어 1위 찍고 완판 되었지? 사람들 눈을 가리는 거야, 우리가 모시는 오너일가가 무슨 죄를 지었는지가 아니라 뭘 입고 뭘 신은지 궁금하게 만들어서!!!"
블레임룩 사례
화제의 넷플릭스 드라마 퀸메이커를 통해 다시 화제를 불러일으켰고 블레임룩이라는 단어 자체는 생긴 지 얼마 되지 않은 신조어이기는 하지만 이러한 현상 자체는 최근 들어 생긴 일은 아닙니다.해당 의류나 소지품 등이 실시간 검색어에 오르는 등 실제로 유명세를 타 해당 제품이 품절되는 형상을 보였던 사례가 꽤 많이 있으며 오래전으로 거슬러 올라가 18세기 프랑스혁명의 지도자였던 폴 마라를 암살하였던 샤를로트 코르테가 착용하였던 보닛과 드레스가 크게 유행했던 것이 대표적이며 국내 역시 최초의 블레임룩으로 도주 2년 6개월 만에 1997년 검거된 탈옥수 신창원의 미소니 니트를 꼽을 수 있습니다.
사진)신창원의 미소니 니트와 린다김의 에스카다 선글라스
해당 니트는 가품이라고 하나 당시 미소니 니트를 입고 있던 신창원의 모습이 매우 강렬하여 이 제품을 카피한 제품들이 대량 생산되었고 수많은 젊은 남성층이 해당 제품을 구매하여 제품이 품귀되는 현상이 벌어지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무기 로비스트 린다 김은 2000년 검찰에 소환될 때마다 반짝이는 보석이 박힌 에스카다의 선글라스를 착용하였는데 해당 선글라스가 매우 많은 인기를 끌며 완판 되었고 이를 모방한 수많은 카피 제품이 생산되었습니다.
또한 무기 로비스트 린다 김은 2000년 검찰에 소환될 때마다 반짝이는 보석이 박힌 에스카다의 선글라스를 착용하였는데 해당 선글라스가 매우 많은 인기를 끌며 완판 되었고 이를 모방한 수많은 카피 제품이 생산되었습니다.
이러한 블레임룩은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 때문에 해당 제품의 브랜드에서는 브랜드 가치에 위협이 될 수 있어 빠르게 나서서 대처하기도 합니다.
최순실의 딸 정유라가 2017년 체포될 당시 덴마크에서 착용했던 패딩의 경우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며 온라인을 뜨겁게 달구었으며 해당 패딩이 노비스의 제품이라고 알려졌으나 노비스 측은 우리의 제품이 아니라고 부인하였으며 n번 방 사건의 조주빈이 포토라인에 FILA 의상을 입고 서자 FILA 측에서 매우 당황한 바 있습니다. 또한 조두순 사건의 조두순이 아이더 패딩을 착용하고 출소하는 모습이 노출되었는데 이때 아이더 측에서는 로고를 모자이크 해달라는 요청을 하기도 하였습니다.
크림반도 합병 8주년 축하 콘서트에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참석할 때 로로피아나 패딩과 키톤(Kiton)의 니트 제품을 착용하고 모스크바 루즈니키 경기장에 나타났는데 당시 러시아 전쟁이 한창이었기에 러시아 국민들이 역대급 생활고를 겪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해당 국가의 대통령이 온몸에 2천만 원 상당의 명품 의류를 휘감고 나온 것은 전 세계적으로 공분을 사기도 하였으며 해당 제품의 브랜드 측인 로로피아나 역시 매우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않았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