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에서의 공유 경제 (Sharing Economy) _ 사지 않고 빌려 입는 패션 공유 플랫폼
공유 경제 (Sharing Economy)
공유 경제란 새롭게 등장한 경제 모델로 생산된 제품을 여러 사람이 공유하고 소비하는 경제 방식을 말합니다.
이러한 공유 경제의 예로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소유하지 않고 대여하는 제품 서비스와 개인에게 필요하지 않은 물품의 소유권을 물품이 필요한 사람에게 이전하는 재분배 시장, 물물교환 및 화폐, 그리고 공간이나 시간 등의 무형 자산의 공유의 협력적 라이프 스타일 등을 들 수 있겠습니다.
패션공유플랫폼
패션에서도 패션 플랫폼이라는 공유 옷장이 등장하였는데 일정 기간 동안 패션 상품을 대여해주고 고객은 이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는 서비스입니다.
장점
구매의 부담이 없어 자유롭게 다양한 옷을 입어볼 수 있고 이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줄어들며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지 않고 배송과 수거를 할 수 있어 편리하다는 점은 패션 공유 플랫폼의 최대 장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검수와 세탁, 수선, 보관 등을 모두 업체에서 진행하기 때문에 의류를 관리할 필요가 없으며 이로 인한 유지와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것도 큰 장점입니다.
단점
나의 소유가 아니기에 누군가와 함께 입고 함께 들어야 하며 업체에서 인기 상품은 소량만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선택의 폭이 좁고 대여하고자 하는 상품이 대기 시간이 있을 수 있으며 필요한 때에는 대여를 할 수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은 최대 단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품을 배송받고 반납하기 위한 번거로움, 상품의 배송에 걸리는 시간 등으로 인해 급히 필요할 경우 이용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는 점도 큰 단점이 됩니다.
국내 사례
이러한 패션 공유 플랫폼은 국내에 2015년부터 하나둘씩 생겨났지만 얼마 못가 대부분 사업을 종료하였습니다.
해외에서는 이보다 좀더 빠른 2009년부터 서비스 되었으며 미국의 렌트 더 런웨이(Rent the Runway)는 명품드레스 등의 하이엔드 의류를 대여해주는 서비스 업체로 현재까지도 활발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공유옷장의 대표적인 사례로 가장 먼저 언급되고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국내에서는 2016년 롯데에서 살롱 드 샬롯(Salon de charlotte)이라는 명칭으로 롯데백화점 잠실점과 롯데 애비뉴엘, 2개의 오프라인 매장으로 대여 서비스를 시작하였으나 2020년 사업을 종료하였고 SK플래닛에서 2016년 프로젝트 앤(Project ANN)이라는 패션 공유 플랫폼을 오픈하였으나 2018년 사업을 종료하였습니다.
결혼식이나 셀프 웨딩, 돌잔치 등 특별한 날 입을 수 있는 옷과 액세서리를 대여해주었던 롯데의 살롱 드 샬롯의 대여 비용은 돌 드레스 대여 시에는 2박3일에 20만원, 명품 드레스 대여시에는 4박 5일에 100만원 선이었는데 일반적인 쇼핑몰에서 대여하지 않고 구입할 경우 10만원대, 맞춤 드레스를 구입할 경우 7,80만원대 임을 감안할 때 너무 높은 가격이었습니다.
또한 야외 촬영 시에는 대여가 금지되어 선택할 수 있는 고객이 그만큼 적어졌으며 일생에 한두 번 밖에 입을 일이 없는 옷이었기 때문에 그만큼 수요가 적었다고 생각됩니다.
SK플래닛의 프로젝트 앤은 일상복을 대여해주는 플랫폼으로 이용권을 구입하여 브랜드의 제품을 여러번 대여가 가능한 시스템이었지만 인기 상품만 끊임없이 대여가 이루어졌고 이러한 인기상품은 원하는 고객들에 비해 수량이 너무 적어 고객들이 이용권을 구입해놓고도 원하는 제품을 정작 빌리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습니다.
또한 인기상품을 제외한 제품들은 대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재고로 남을 수 밖에 없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신상품을 업데이트 해야한다는 점에서 지속적인 수익구조를 유지할 수 없다는 이유로 사업을 종료하였습니다.
문제점
이러한 패션 공유 플랫폼은 같은 옷을 여러번 입지 않고 SNS에 익숙한 세대인 밀레니얼 세대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으며 앞으로도 필요한 서비스임에는 분명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업체 측에서는 수익을 얻기 힘들며 계속해서 신상을 업데이트 해야 하고 이용 고객은 원하는 제품을 대여하기 힘든 등 구조이며 이러한 패션 공유 플랫폼들의 대여 금액은 SPA브랜드에서 구매가 가능한 금액과 비슷하거나 더 높습니다.
결론
공유 옷장 서비스를 시작하려고 하거나 혹은 이용하려고 할 때 생각해야 할 문제가 몇가지 있습니다.
사업을 하는 쪽에서는 기본적으로 구비해두어야 할 물품의 구매를 위한 준비 비용과 인기상품의 부족 현상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대한 해결책을 가지고 시작해야 하며 몇 번의 대여가 이루어져야 이익이 생기는지, 또한 여러 사람의 손을 타게 될 상품을 어떻게 관리하여 하나의 상품을 최대한 여러 번 대여를 할 것인가에 대한 것입니다.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의 경우 비싼 금액을 지불하고도 대여할 가치가 있는지, 이용권 등으로 이용해야 하는 경우 원하는 상품이 대여 중일때 이를 대신하여 대여할만한 제품이 충분한지, 그리고 내 것이 아닌 빌린 물품이라는 부담감에 대한 것입니다.
이러한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패션 공유 플랫폼이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