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레니얼에게 스며든 할머니의 옛날 감성 - 할매니얼
할머니의 사투리인 '할매'와 밀레니얼 세대의 '밀레니얼'을 합성한 용어인 할매니얼은 할머니들이 먹고 입는 음식과 패션 취향을 선호하는 밀레니얼 세대를 의미합니다.
이미 해외에서는 몇 해 전 부터 할머니를 의미하는 '그래니(Granny)'와 '시크(Chic)'가 합쳐진 '그래니 시크(Granny Chic; 세련된 할머니)'와 할머니(Grandmother)와 밀레니얼을 결합한 '그랜드 밀레니얼' 등의 용어가 사용되어 왔는데 이는 예전 할머니의 패션이나 음식, 인테리어 등을 멋스럽게 재연출하는 사람들을 일컫는 말로 할매니얼과 유사합니다.
젊은 층을 대상으로 ‘○○당(堂), ○○옥(屋), ○○상회(商會)’ 등의 이름을 쓰는 카페나 베이커리 등이 등장하였고 88 서울올림픽의 마스코트였던 호돌이는 '레어템'이 되기도 하였고 옛날 느낌의 다방 등이 아직 남아 있는 을지로 골목은 '힙지로(힙스터+을지로)'라는 별칭을 얻었으며 빙그레는 '비비빅'을 변형한 인절미맛, 흑임자맛, 단호박맛 비비빅을 출시하였고, 롯데는 빵빠레 흑임자, 배스킨라빈스는 아이스 모찌 흑임자, 해태제과는 쌍쌍바 미숫가루, 빙그레는 투게더 흑임자 등의 다양한 할매니얼 아이스크림을 쏟아냈습니다.
오리온에서 출시한 '찰 초코파이 흑임자·인절미’는 3개월 만에 1500만 개가 판매되었으며 현대그린푸드에서 '그리팅 죽'은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유동식임에도 불구하고 매출의 절반 이상이 밀레니얼 세대에게서 발생하였습니다.
이렇게 할매니얼 트렌드는 식품, 패션, 인테리어, 유투브 콘텐츠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큰 영향을 미키기도 하였는데 이는 취향이나 추억이 아닌, 이를 즐기는 젊은 세대들에게는 새롭고 재미있는 대상으로 인식된다는 점에서 몇년전부터 불어닥친 뉴트로 열풍의 연장선상으로 보고 있으며 패션에서는 코티지코어와 더불어 주목받고 있습니다.
할매니얼 현상은 패션에서도 큰 영향을 미쳤는데 마치 할머니의 옷장에 한 벌 쯤 있을 법한 꽃무늬 니트 가디건이나 발목까지 오는 에스닉 풍의 롱 스커트, 특이한 패턴의 조끼나 가방 등을 코디한 젊은층을 요즘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자수로 하나한 짠 느낌의 크로셰 니트나 마치 어린시절 할머니가 직점 짜 준 듯한 느낌의 니트 풀오버 등의 레트로 감성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직접 제작해 입을 수 있는 DIY 패키지는 직접 만든 의상이라는 점에서 더 가치있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그동안 젊은 세대들에게 고리타분하고 유행과 맞지 않는 옛것으로 받아들여졌던 윗세대의 문화는 젊은층에게 외면당했고, 세대간의 격차는 점점 벌어졌습니다.
그러나 할매니얼의 열풍으로 젊은 세대들은 윗세대의 문화를 직접 체험하고 즐기게 되었으며 노인과 밀레니얼 세대가 서로 소통할 수 있는 하나의 문화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나만의 개성을 표현하려는 욕구가 강한 밀레니얼 세대에게 할매니얼 열풍이 불어 닥친 것은 겪어보지 못한 세대에 대한 열망, 단순 취향의 변화 등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각박한 현실에 몸과 마음이 지쳐 마음의 안정을 구하고 따뜻한 인간미를 찾는 밀레니얼 세대들의 감성을 건드렸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복고, 뉴트로 등의 유행과 함께 한동안 지속될 것이라 예상됩니다.
할매니얼
할머니들이 선호하는 옛날 음식이나 패션을 재연출해 즐기는 밀레니얼 세대들로 대표적으로 흑임자나 인절미, 쑥 등을 활용한 '할매 입맛' 식품들과 빈티지 풍의 롱스커트나 꽃무늬 니트 가디건 등을 매치해서 입는 '그래니 룩(Granny Look; 할머니의 의복을 연상시키는 스타일) 등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향은 하나의 취향을 드러내는 개성이기도 하지만 옛날 상품이나 그 시기의 취향들이 젊은 세대들에게는 새롭고 재미있는 대상으로 인식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도 보고 있습니다.이미 해외에서는 몇 해 전 부터 할머니를 의미하는 '그래니(Granny)'와 '시크(Chic)'가 합쳐진 '그래니 시크(Granny Chic; 세련된 할머니)'와 할머니(Grandmother)와 밀레니얼을 결합한 '그랜드 밀레니얼' 등의 용어가 사용되어 왔는데 이는 예전 할머니의 패션이나 음식, 인테리어 등을 멋스럽게 재연출하는 사람들을 일컫는 말로 할매니얼과 유사합니다.
젊은 층을 대상으로 ‘○○당(堂), ○○옥(屋), ○○상회(商會)’ 등의 이름을 쓰는 카페나 베이커리 등이 등장하였고 88 서울올림픽의 마스코트였던 호돌이는 '레어템'이 되기도 하였고 옛날 느낌의 다방 등이 아직 남아 있는 을지로 골목은 '힙지로(힙스터+을지로)'라는 별칭을 얻었으며 빙그레는 '비비빅'을 변형한 인절미맛, 흑임자맛, 단호박맛 비비빅을 출시하였고, 롯데는 빵빠레 흑임자, 배스킨라빈스는 아이스 모찌 흑임자, 해태제과는 쌍쌍바 미숫가루, 빙그레는 투게더 흑임자 등의 다양한 할매니얼 아이스크림을 쏟아냈습니다.
오리온에서 출시한 '찰 초코파이 흑임자·인절미’는 3개월 만에 1500만 개가 판매되었으며 현대그린푸드에서 '그리팅 죽'은 고령층을 대상으로 한 유동식임에도 불구하고 매출의 절반 이상이 밀레니얼 세대에게서 발생하였습니다.
이렇게 할매니얼 트렌드는 식품, 패션, 인테리어, 유투브 콘텐츠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큰 영향을 미키기도 하였는데 이는 취향이나 추억이 아닌, 이를 즐기는 젊은 세대들에게는 새롭고 재미있는 대상으로 인식된다는 점에서 몇년전부터 불어닥친 뉴트로 열풍의 연장선상으로 보고 있으며 패션에서는 코티지코어와 더불어 주목받고 있습니다.
할매니얼 현상은 패션에서도 큰 영향을 미쳤는데 마치 할머니의 옷장에 한 벌 쯤 있을 법한 꽃무늬 니트 가디건이나 발목까지 오는 에스닉 풍의 롱 스커트, 특이한 패턴의 조끼나 가방 등을 코디한 젊은층을 요즘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자수로 하나한 짠 느낌의 크로셰 니트나 마치 어린시절 할머니가 직점 짜 준 듯한 느낌의 니트 풀오버 등의 레트로 감성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직접 제작해 입을 수 있는 DIY 패키지는 직접 만든 의상이라는 점에서 더 가치있게 느껴지기도 합니다.
그동안 젊은 세대들에게 고리타분하고 유행과 맞지 않는 옛것으로 받아들여졌던 윗세대의 문화는 젊은층에게 외면당했고, 세대간의 격차는 점점 벌어졌습니다.
그러나 할매니얼의 열풍으로 젊은 세대들은 윗세대의 문화를 직접 체험하고 즐기게 되었으며 노인과 밀레니얼 세대가 서로 소통할 수 있는 하나의 문화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나만의 개성을 표현하려는 욕구가 강한 밀레니얼 세대에게 할매니얼 열풍이 불어 닥친 것은 겪어보지 못한 세대에 대한 열망, 단순 취향의 변화 등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각박한 현실에 몸과 마음이 지쳐 마음의 안정을 구하고 따뜻한 인간미를 찾는 밀레니얼 세대들의 감성을 건드렸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복고, 뉴트로 등의 유행과 함께 한동안 지속될 것이라 예상됩니다.
댓글
댓글 쓰기